IT/영어 공부노트

네트워크의 기본 본문

💻 IT/네트워크

네트워크의 기본

소저어엉 2024. 3. 26. 00:08
반응형

<그림으로 배우는 네트워크 원리> 책을 읽고 정리한 내용으로,

개인 공부 정리 포스팅입니다. 

 

+ 사실 개인 정리라 노션에 올리려 하였으나,,, 노션 오류사건으로 쩔수없이 블로그에,,,


1-1 무엇을 위해서 네트워크를 이용할까?

컴퓨터 네트워크는 PC나 스마트폰과 같은 정보 단말 기기를 서로 연결해서 만들어진다. 컴퓨터 네트워크 덕분에 다른 사람과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다.

 

네트워크를 이용하는 목적

  1. 정보 수집
  2. 문서 파일 공유
  3. 커뮤니케이션
  4. 업무 처리 등

네트워크를 이용하는 목적을 분명히 하면, 네트워크의 중요성도 명확해진다.


1-2 누가 이용할 수 있는 네트워크인가?

네트워크를 다양한 관점에서 분류할 수 있지만, 그 중에서도 누가 이용할 수 있는 네트워크 인가? 라는 관점에서 볼 때, 이해하기 쉽다.

  1. 사용자를 제한하는 사설 네트워크
  2. 누구나 이용할 수 있는 인터넷

1-3 사내 네트워크 구성

LAN과 WAN

LAN(Local Area Network): 거점 내 네트워크

WAN(Wid Area Network): LAN끼리 연결하기 위한 것

예로 규모가 큰 기업은 복수의 거점을 구축하는데, 각 거점의 네트워크가 LAN이고, 이를 연결하는 것이 WAN이다.

 

LAN과 WAN의 구축과 관리 비용

LAN은 직접 구축하고 관리해야 한다. 이를 위해 각 기기 배치나 배선 등의 설정이 필요하다. 주로 유선이나 무선 LAN을 지원하는 기기를 이용하는데, 초기비용(인건비 등)이 들어간다. LAN은 별도의 통신 요금이 들진 않지만, 관리 비용은 필요하다.

WAN은 NAT와 같은 통신사업자가 구축하고 관리한다. 구축비용은 서비스 초기 계약 비용과 통신 요금이 든다.

→ LAN은 직접 구축하여 관리하고, 이를 연결하기 위해 적절한 WAN 서비스를 계약하는 것이 중요하다.

LAN WAN

역할 거점 내 기기끼리 서로 연결 LAN 끼리 서로 연결
구축 및 관리 직접 구축 관리 통신사업자가 구축 관리
초기비용 설계와 구축 인건비, 기기비용 서비스 계약 요금
관리비용 관리자 인건비 통신요금

1-4 네트워크의 네트워크 

인터넷의 구성요소

인터넷은 전 세계의 다양한 조직이 관리하는 네트워크가 연결 된 것이다. 그 조직의 네트워크를 AS(Autonomous System)이라고 부른다.

AS의 예는 인터넷 서비스 프로바이더(ISP)이다.

ISP의 상위 그룹을 Tier1이라고 부른다. Tier1 이외의 ISP는 최종적으로 Tier1에 연결되어 자신이 관리하지 않는 네트워크의 정보도 입수한다. 즉 인터넷 상의 모든 ISP는 Tier1을 경유해서 연결하는 것 이다.

인터넷 접속 서비스의 개요

ISP와 계약하고 라우터를 ISP의 라우터와 연결하면 인터넷을 사용할 수 있다. ISP의 라우터와 접속하기 위해서는 고정회선 또는 모바일 회선을 이용한다.

 

고정회선

  • 전용선
  • 전화회선
  • 광케이블
  • 케이블 TV 회선

모바일 회선

  • 휴대전화망
  • WiMAX/WiMAX2 회선
  • 무선 LAN

1-5 무엇이 데이터를 주고받을까?

데이터를 주고받는 주체

데이터를 주고받는 주체는 주로 애플리케이션이다. 애플리케이션을 동작시키는 컴퓨터는 클라이언트와 서버로 분류할 수 있다. 

  • 클라이언트: 일반 PC나 스마트폰
  • 서버: 요청을 처리하는 고성능 컴퓨터

 

또한 데이터 통신은 양방향으로 이루어진다. 대체로 애플리케이션은 서버 애플리케이션에 요청을 보내고, 서버는 요청을 응답으로 반환한다. 

 

피어투피어 애플리케이션

피어투피어 애플리케이션: 서버를 거치지 않고 클라이언트끼리 직접 데이터를 주고 받는 애플리케이션을 말한다. 

ex) SNS 메신저, 온라인 게임

+ 이 경우에도 통신 상대를 특정하고나 서버를 이용하는 경우 있음


1-6 통신에서 이용하는 언어

통신을 위한 규칙

컴퓨터 통신에는 네트워크 아키텍처를 이용하여 대화한다. 네트워크 아키텍처에도 일반 언어의 문법과 같은 규칙이 있는데, 통신에 필요한 규칙을 프로토콜이라 한다. 

컴퓨터끼리의 통신에서도 같은 네트워크 아키텍처를 이용할 필요가 있다. 

-> 복수의 프로토콜을 조합해 네트우크 아키텍처가 된다! 

 

네트워크의 공통 언어는 TCP/IP

TCP/IP는 대표적인 프로토콜로, 네트워크를 통해 애플리케이션을 주고받기 위해, 역할별로 네 가지로 계층화된 복수의 프로토콜을 조합한다. 

프로토콜을 계층화하면 나중에 확장하기 쉬워지는 장점이 있다. 


1-7 서버를 운용 · 관리한다

서버 운용 · 관리의 어려운 점

애플리케이션이 동작하려면, 서버가 항상 가동되고 있어야 하기에 서버의 상태를 항상 감시하며 문제에 대처한다. 데이터 백업, 처리 능력 확장, 보안 대책 등 서버 운용 관리에는 시간과 비용이 든다. 

 

위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서버를 직접 관리하지 않고, 인터넷 서버의 기능만 이용할 수 있게 한 것이 클라우드 서비스이다. 

(직접 서버 운영 방법은 온프레미스)

 

클라우드 서비스의 장단점

클라우드 서비스 사업자가 서버를 도입하고 운용 관리하기에 매우 편리하지만, 보안이나 가용성에 주의가 필요하다. 


1-8 클라우드 서비스의 분류

클라우드 서비스는 네트워크를 경유해 서버의 어느 부분을 사용자가 이용할 수 있게 하느냐에 따라서 3가지로 분류할 수 있다. 

 

IaaS(Infrastructure as a Service) = Haas(Hardware as a Service)

네트워크를 경유해 서버의 CPU와 메모리, 저장장치 등의 하드웨어 부분을 이용할 수 있게 한다. 사용자는 서버 상에서 다시 OS와 미들웨어, 애플리케이션을 추가한다. IaaS를 이용해 사업자의 서버에서 자유롭게 시스템을 만들어 이용할 수 있다. 

PaaS(Platform as a Service)

네트워크를 경유해 서버의 플랫폼을 이용할 수 있게 한다. 여기서 플랫폼은 OS와 OS 상에서 동작하는데 데이터베이스 등의 미들웨어를 포함한 부분을 말한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사내 업무 시스템과 같은 독자적인 애플리케이션을 추가해 자유롭게 이용할 수 있다. 

SaaS(Software as a Service)

네트워크를 경유해 서버의 특정 소프트웨어 기능을 이용할 수 있게 한다. 

반응형